
구글 제미나이 딥리서치가 대단하다길래 한 번 사용해 보았다. 딥리서치 사용 가능해진 날 바로 해본 것인데, 결과를 읽다가 마음이 안 좋아져서 임시 저장하고 오픈을 하지 않았었네.
암튼 어떤식으로 조사가 되는지도 확인하였고, 업무나 자료조사, 연구 등이 훨씬 빠르게 해결될 것 같긴 하다. 예전 같았으면 인턴이나 아르바이트생에게 하루 이틀 맡겼어야 할 자료들 아닌가.
활용 더 잘하는 방법도 강구해봐야겠다. 특히 인포그래픽 예시 나오는 것을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 요약 먼저 읽기
본 보고서의 분석 결과, 2023년 기준으로 1980-1985년생의 자살률은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에 걸쳐 높은 수준을 보이며, 특히 남성의 자살률이 여성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대는 청소년기부터 높은 자살 위험에 노출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2000년대 초반 카드 대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잦은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경제적 불안감이 심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1980년대생은 이전 세대에 비해 더 높은 자살사망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경쟁적인 사회 환경과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1980-1985년생의 높은 자살률은 이 세대가 겪는 사회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맞춤형 자살 예방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정신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지원 강화, 사회적 연결망 강화 등 다각적인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1980-1985년생의 자살 원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이 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자살 예방 전략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 1980-1985년생 자살률 현황 및 추이 분석
2023년 자살률 현황 (만 38-43세)
- 30대 후반 (35-39세): 10만 명당 27.0명
- 40대 초반 (40-44세): 10만 명당 31.1명
- 40대 전체: 10만 명당 31.6명
- 남성 (40대): 10만 명당 43.0명
- 여성 (40대): 10만 명당 19.8명
- 남성 (40대): 10만 명당 43.0명
- 30대 전체: 10만 명당 26.4명
- 남성 (30대): 10만 명당 33.7명
- 여성 (30대): 10만 명당 18.6명
- 남성 (30대): 10만 명당 33.7명
- 전체 자살률 (2023년): 10만 명당 27.3명 (전년 대비 8.5% 증가)
- 주요 원인 (2023년):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37.6%), 경제생활 문제 (25.9%)
(그래프 1 제안 : 2023년 30대 후반, 40대 초반, 전체 30대 및 40대 자살률 비교 (막대 그래프) /
그래프 2 제안 : 2023년 30대 및 40대 성별별 자살률 비교 (이중 막대 그래프))
(그래프 1 제안: 2023년 30대 후반 (27.0명), 40대 초반 (31.1명), 전체 30대 (26.4명), 전체 40대 (31.6명) 자살률 비교 (단위: 10만 명당 명) - 막대 그래프)
(그래프 2 제안: 2023년 30대 남성 (33.7명) vs 여성 (18.6명), 40대 남성 (43.0명) vs 여성 (19.8명) 자살률 비교 (단위: 10만 명당 명) - 이중 막대 그래프)
◑ 자살률 추이 (1980년대생 중심)
- 1995년 이후 증가: 2008년 10만 명당 26.4명 기록
- OECD 비교: 2003년부터 OECD 자살률 1위
- 1986년생 20세 자살사망률: 1951년생 대비 6배 높음
- 2017-2021년 30대 자살률 꾸준히 증가
- 2022년 40대 자살률 소폭 증가
- 경제 위기 영향 : 외환위기(1998), 카드 대란(2003), 금융위기(2009) 이후 자살률 증가 경향
타임라인 제안
- 1997-1998년 외환위기 (1980-1985년생: 12-18세)
- 2003년 카드 대란 (1980-1985년생: 18-23세)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1980-1985년생: 23-28세)
- 2023년 현재 (1980-1985년생: 38-43세)
(그래프 3 제안: 1980년대생 해당 연령별 자살률 추이 (꺾은선 그래프, 가능한 연도까지) / 타임라인 제안: 주요 사회경제적 사건과 1980년대생의 연령 변화를 함께 표시)**
◑ 다른 연령대와의 비교 (2023년)
- 전체 자살률: 80세 이상 > 70대 > 50대 > 40대 > 60대 > 30대 > 20대 > 10대
- 15-64세 자살률: 10만 명당 28.0명
- 65세 이상 자살률: 10만 명당 40.6명
- 남성 자살률 (연령별): 70대 > 30대 > 60대 > 50대 > 40대 > 20대 > 10대
- 여성 자살률 (연령별): 20대 > 30대 > 50대 > 70대 > 40대 > 60대 > 10대
- 10-30대 주요 자살 충동 원인: 우울감, 학업/진학 문제, 직장 문제 (40대 이상은 경제적 어려움)
인포그래픽 제안
- 10대: 자살률 가장 낮음, 여성 자살률 증가 추세
- 20대: 10대보다 높음, 정신 건강 문제 및 직장 문제 주요 원인
- 30대: 자살률 증가 추세, 정신 건강 문제 및 경제 문제 주요 원인
- 40대: 높은 자살률, 특히 남성에서 높음, 경제 문제 주요 원인
- 50대: 높은 자살률, 증가 추세, 경제 문제 및 건강 문제
- 60대: 높은 자살률, 2023년 증가폭 큼
- 70대: 높은 자살률, 2023년 소폭 감소
- 80세 이상: 자살률 가장 높음, 2023년 소폭 감소
(표 1) 2023년 주요 연령대별 자살률 (단위: 10만 명당 명)
연령대 | 전체 | 남성 | 여성 |
10대 | 7.9 | 7.1 | 8.8 |
20대 | 22.2 | 26.4 | 17.6 |
30대 | 26.4 | 33.7 | 18.6 |
40대 | 31.6 | 43 | 19.8 |
50대 | 32.5 | 47.5 | 17.3 |
60대 | 30.7 | 46.6 | 15.3 |
70대 | 39 | 63.9 | 18 |
80세 이상 | 59.4 | 115.8 | 29.6 |
인포그래픽 제안 : 각 연령대별 자살률 순위 및 주요 특징 요약)
◑ 결론 및 시사점
- 1980-1985년생은 30대 후반-40대 초반에 높은 자살률을 보이며, 특히 남성이 높음
- 청소년기부터 경제 위기 등 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며 높은 자살 위험에 노출됨
- 이전 세대에 비해 높은 자살사망률 경향을 보임
- 정신 건강 및 경제적 어려움 지원 강화 필요
Source
한국 자살현황 그래프 (2023년) https://kfsp-datazoom.or.kr/korea02.do
데이터줌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데이터줌은 한국자살통계, OECD자살통계, WHO자살통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자살관련 조사들의 분석 결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kfsp-datazoom.or.kr
같이 읽으면 좋은 책
https://www.ghostbooks.kr/24/?idx=687
[11차 재입고] 80년대생들의 유서(개정판) : ghostbooks
80년대생들의 유서(개정판)'80년대생 14명의 인터뷰와 유서'2~3년 전 지독한 우울증을 겪는 중에 실제 유서를 담은 책을 보게 되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극단적 행위인 '유서 쓰기'를 통해서
www.ghostbooks.kr
'공부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ageFx 구글이마젠3 사실적 음식사진 생성 프롬프트 (0) | 2025.03.31 |
---|---|
LLM 대규모언어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3.31 |
구글 ImageFX 무료지만, 상업적 사용 가능할까? (4) | 2025.03.22 |
경기도지식 GSEEK AI 아트 힐링 Suno와 헤드라가 만든 음악의 마법 수업 후기 (4) | 2025.03.21 |
블로그 수익 극대화! 냅킨AI 폰트 추가로 차별화하는 법 (6)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