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AI

구글 제미나이 딥리서치 : 1980-1985년생 자살율 알아보기

반응형

 

 

구글 제미나이 딥리서치가 대단하다길래 한 번 사용해 보았다. 딥리서치 사용 가능해진 날 바로 해본 것인데, 결과를 읽다가 마음이 안 좋아져서 임시 저장하고 오픈을 하지 않았었네.

암튼 어떤식으로 조사가 되는지도 확인하였고, 업무나 자료조사, 연구 등이 훨씬 빠르게 해결될 것 같긴 하다. 예전 같았으면 인턴이나 아르바이트생에게 하루 이틀 맡겼어야 할 자료들 아닌가. 

활용 더 잘하는 방법도 강구해봐야겠다. 특히 인포그래픽 예시 나오는 것을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 요약 먼저 읽기

본 보고서의 분석 결과, 2023년 기준으로 1980-1985년생의 자살률은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에 걸쳐 높은 수준을 보이며, 특히 남성의 자살률이 여성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대는 청소년기부터 높은 자살 위험에 노출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2000년대 초반 카드 대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잦은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경제적 불안감이 심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1980년대생은 이전 세대에 비해 더 높은 자살사망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경쟁적인 사회 환경과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1980-1985년생의 높은 자살률은 이 세대가 겪는 사회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맞춤형 자살 예방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정신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지원 강화, 사회적 연결망 강화 등 다각적인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1980-1985년생의 자살 원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이 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자살 예방 전략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1980년대생 자살률 검색 요약_.pdf
0.18MB

 


1980-1985년생 자살률 현황 및 추이 분석

2023년 자살률 현황 (만 38-43세)

  • 30대 후반 (35-39세): 10만 명당 27.0명  
     
  • 40대 초반 (40-44세): 10만 명당 31.1명  
     
  • 40대 전체: 10만 명당 31.6명
    • 남성 (40대): 10만 명당 43.0명  
       
    • 여성 (40대): 10만 명당 19.8명  
       
  • 30대 전체: 10만 명당 26.4명
    • 남성 (30대): 10만 명당 33.7명  
       
    • 여성 (30대): 10만 명당 18.6명  
       
     
     
  • 전체 자살률 (2023년): 10만 명당 27.3명 (전년 대비 8.5% 증가)  
     
  • 주요 원인 (2023년):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37.6%), 경제생활 문제 (25.9%)  
     

(그래프 1 제안 : 2023년 30대 후반, 40대 초반, 전체 30대 및 40대 자살률 비교 (막대 그래프) /
 그래프 2 제안 : 2023년 30대 및 40대 성별별 자살률 비교 (이중 막대 그래프))

(그래프 1 제안: 2023년 30대 후반 (27.0명), 40대 초반 (31.1명), 전체 30대 (26.4명), 전체 40대 (31.6명) 자살률 비교 (단위: 10만 명당 명) - 막대 그래프)

(그래프 2 제안: 2023년 30대 남성 (33.7명) vs 여성 (18.6명), 40대 남성 (43.0명) vs 여성 (19.8명) 자살률 비교 (단위: 10만 명당 명) - 이중 막대 그래프)

 

 자살률 추이 (1980년대생 중심)

  • 1995년 이후 증가: 2008년 10만 명당 26.4명 기록  
     
  • OECD 비교: 2003년부터 OECD 자살률 1위
  • 1986년생 20세 자살사망률: 1951년생 대비 6배 높음  
     
  • 2017-2021년 30대 자살률 꾸준히 증가
  • 2022년 40대 자살률 소폭 증가
  • 경제 위기 영향 : 외환위기(1998), 카드 대란(2003), 금융위기(2009) 이후 자살률 증가 경향  




    타임라인 제안

    • 1997-1998년 외환위기 (1980-1985년생: 12-18세)
    • 2003년 카드 대란 (1980-1985년생: 18-23세)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1980-1985년생: 23-28세)
    • 2023년 현재 (1980-1985년생: 38-43세) 

(그래프 3 제안: 1980년대생 해당 연령별 자살률 추이 (꺾은선 그래프, 가능한 연도까지) / 타임라인 제안: 주요 사회경제적 사건과 1980년대생의 연령 변화를 함께 표시)**

 

 다른 연령대와의 비교 (2023년)

    • 전체 자살률: 80세 이상 > 70대 > 50대 > 40대 > 60대 > 30대 > 20대 > 10대
    • 15-64세 자살률: 10만 명당 28.0명  
    • 65세 이상 자살률: 10만 명당 40.6명 
    • 남성 자살률 (연령별): 70대 > 30대 > 60대 > 50대 > 40대 > 20대 > 10대
    • 여성 자살률 (연령별): 20대 > 30대 > 50대 > 70대 > 40대 > 60대 > 10대
    • 10-30대 주요 자살 충동 원인: 우울감, 학업/진학 문제, 직장 문제 (40대 이상은 경제적 어려움)


포그래픽 제안

  • 10대: 자살률 가장 낮음, 여성 자살률 증가 추세
  • 20대: 10대보다 높음, 정신 건강 문제 및 직장 문제 주요 원인
  • 30대: 자살률 증가 추세, 정신 건강 문제 및 경제 문제 주요 원인
  • 40대: 높은 자살률, 특히 남성에서 높음, 경제 문제 주요 원인
  • 50대: 높은 자살률, 증가 추세, 경제 문제 및 건강 문제
  • 60대: 높은 자살률, 2023년 증가폭 큼
  • 70대: 높은 자살률, 2023년 소폭 감소
  • 80세 이상: 자살률 가장 높음, 2023년 소폭 감소 

 

(표 1) 2023년 주요 연령대별 자살률 (단위: 10만 명당 명) 

연령대 전체 남성 여성
10대 7.9 7.1 8.8
20대 22.2 26.4 17.6
30대 26.4 33.7 18.6
40대 31.6 43 19.8
50대 32.5 47.5 17.3
60대 30.7 46.6 15.3
70대 39 63.9 18
80세 이상 59.4 115.8 29.6



인포그래픽 제안 : 각 연령대별 자살률 순위 및 주요 특징 요약)

 

◑ 결론 및 시사점

  • 1980-1985년생은 30대 후반-40대 초반에 높은 자살률을 보이며, 특히 남성이 높음
  • 청소년기부터 경제 위기 등 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며 높은 자살 위험에 노출
  • 이전 세대에 비해 높은 자살사망률 경향을 보임
  • 정신 건강 및 경제적 어려움 지원 강화 필요

 

Source

한국 자살현황 그래프 (2023년) https://kfsp-datazoom.or.kr/korea02.do

 

데이터줌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데이터줌은 한국자살통계, OECD자살통계, WHO자살통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자살관련 조사들의 분석 결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kfsp-datazoom.or.kr

 

같이 읽으면 좋은 책

https://www.ghostbooks.kr/24/?idx=687 

 

[11차 재입고] 80년대생들의 유서(개정판) : ghostbooks

80년대생들의 유서(개정판)'80년대생 14명의 인터뷰와 유서'2~3년 전 지독한 우울증을 겪는 중에 실제 유서를 담은 책을 보게 되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극단적 행위인 '유서 쓰기'를 통해서

www.ghostbooks.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