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례선, 위례 신사선, 위례 과천선 정보 비교
많은 사람이 헷갈려 하는 것 같아서 (물론 나 포함) 뉴스 스크랩 하고, 클로드 활용하여 위례 교통망 계획 (위례선, 위례신사선, 위례과천선)을 세로로 배치하여 각 특성을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 해 보았다.
주요 특징
- 각 노선을 색상으로 구분 (위례선: 파란색, 위례신사선: 녹색, 위례과천선: 주황색)
- 세로 컬럼 형식으로 각 노선의 특징을 비교
- 비교 항목 : 노선 길이, 연결 지역, 사업 방식, 현재 상황, 개통 예정
- 하단에 타임라인으로 각 노선의 개통 예정 시기를 시각화
이 인포그래픽은 위례선과 위례신사선의 주요 정보를 시각화한 것입니다. 두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의 특징과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왼쪽에는 위례선 (트램, 노면전차)에 대한 정보를 파란색 계열로 표현했습니다.
- 총 연장 5.4km
- 위례신도시 내부 순환 기능
- 마천역-위례신도시-복정역 구간
- 2023년 착공, 2026년 5월 개통 예정 (당초 2025년 예정)
오른쪽에는 위례신사선 (경전철, 철도 노선)에 대한 정보를 노란색(위)/보라색(아래)계열로 표현했습니다.
- 총 연장 14.7km
- 위례신도시와 강남권 신사역 연결
- 민간투자사업에서 재정사업으로 전환
- 당초 2028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2030년 이후로 지연될 전망
◈ 위례선 트램 조감도
◈ 위례 신사선 경전철 노선도
◈ 위례 과천선 광역철도 노선도
◈ 위례 신사선 - 위례과천선 정보 비교
특징 | 위례신사선 | 위례과천선 |
노선 길이 | 약 14.7km | 약 28.25km |
연결 지역 | 신사역(서울 강남구) ↔ 위례신도시 | 위례신도시 ↔ 과천 ↔ 압구정(서울 강남구) |
주요 목적 | 강남권 접근성 강화 및 장거리 통근 수요 해결 | 위례신도시와 과천, 서울 강남구 간 연결 |
사업 추진 방식 | 초기 민간투자사업, 현재 재정사업으로 전환 검토 중 | 수익형민자사업(BTO)과 임대형민자사업(BTL) 혼합형 |
현재 상황 | 민간투자사업 취소 후 재정사업 검토, 개통 시기 지연 예상 |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 착공까지 시간문제 |
개통 예상 시기 | 2030년 이후로 지연 가능성 | 2027년 말에서 2028년 초 착공, 2033년 개통 예상 |
주민 반응 | 사업 지연 우려 및 행정소송 제기 | 상대적으로 안정적 |
TMI
위례신사선은 2026년 개통 예정이며, 위례과천선은 위례신사선과 연결되어 과천시와 서울을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Source
위례선 완공 후 모습은? 조감도로 살펴보는 위례신도시 트램 > 내 손안에 서울 > 서울이야기 > 시
위례선 완공 후 모습은? 조감도로 살펴보는 위례신도시 트램
opengov.seoul.go.kr
"위례 트램 개통, 올해 9월→내년 5월로“
서울 마천역과 위례신도시를 잇는 트램(노면전차) 건설 사업이 공기에 적색 불이 켜졌다. 위례신도시에 건설 중인 위례선 트램은 당초 내년 9월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으나 인허가 문제가
m.hanamilbo.net
위례과천선, 민자적격성 통과… 2026년 착공 ‘가시화’
수도권 동남권 주요 교통 인프라로 꼽히고 있는 ‘위례∼과천 간 광역철도 민간투자사업’(이하 위례과천선)이 추진 동력을 얻었다. 이 사업을 주관하는 국토교통부는 내년 건설·운영 사업자(
news.mtn.co.kr
'오늘의 나는 > 생각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이관 1천개 영현백 3천개, 군이 왜 이렇게 많은 영현백과 종이관을 구매했을까? (0) | 2025.03.19 |
---|---|
다자녀 3자녀 가구 혜택 공항 패스트트랙 도입 정보 및 인구 비상 대책회의 요약 (4) | 2025.03.16 |
지귀연 부장판사 프로필 평가 현재 논란 클로드 한 장 요약 자료 (4) | 2025.03.13 |
저주 인형 논란 스트레스 해소인가, 폭력성 학습인가? (3) | 2025.03.10 |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앱 오류: 사용자의 분노 폭발! (2)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