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시련(The Crucible) 핵심 Q&A 정리
아서 밀러의 희곡 『시련』은 단순한 마녀 이야기로 끝나지 않는다.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이 광기는 지금 우리 사회와도 닮았다.
한국 관객들이 던지는 질문들로 작품의 본질을 파헤쳐보자.
영어 단어 Crucible 뜻1. (문자적 의미)고온에서 금속을 녹이는 도가니 → 아주 강한 열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금속만 남기는 용기 2. (비유적 의미) 극한의 시험, 고통, 혹독한 시련 → 사람의 신념, 양심, 인격이 시험당하는 한계 상황 『시련』이라는 제목의 의미아서 밀러는 이 작품에서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씀.
|
Q1. 이 연극, 간단히 무슨 내용이야?
A. 1692년 미국 세일럼 마을.
한 무리의 소녀들이 숲에서 춤추다 발각되고, 누군가 “악마를 봤다”고 말한 순간 마을 전체가 광기에 휩싸인다.
거짓 고발이 퍼지고, 무고한 사람들이 마녀로 몰린다.
존 프록터는 이 광기에 저항하지만 결국 처형당한다.
→ 권력이 만든 집단 히스테리, 그 안에서 진실을 지키는 한 사람의 이야기.
Q2. 극의 결말에서 존 프록터는 뭘 밝히려고 한 거야?
A. 그는 거짓 자백을 하면 살 수 있었지만, 끝내 거부한다.
왜냐면 “나는 내 이름밖에 없다”고 말하며,
양심과 존엄성을 지키는 것이 거짓 생존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
결국 그는 죽음을 선택해 진실을 증명한다.
Q3. 남편 존 프록터는 뭘 하려고 했던 거야? 그냥 살려달라고 한 거 아니야?
A. 전혀 아님.
그는 거짓 재판의 실체를 폭로하려고 했고,
자신의 불륜까지 고백하면서도 소녀들의 조작을 드러내려 했다.
쉽게 말해, “내가 나쁜 놈이긴 해도, 이 재판은 더 나쁘다”는 걸 밝히려 한 것이다.
양심을 저버리지 않으려는 도덕적 투쟁이었다.
Q4. 마지막에 누가 죽어? 존 프록터? 에비게일? 둘 다?
A.
- 존 프록터는 처형당함. (거짓 자백 거부)
- 에비게일은 안 죽음. 끝까지 사람 고발하고 나중엔 도망감.
- 엘리자베스 프록터(존의 아내)는 임신 중이라 처형 유예 → 결국 생존.
→ 결국 진실을 말한 자는 죽고, 거짓을 퍼뜨린 자는 살아남는다.
비극은 여기서 완성된다.
Q5. 근데 ‘마녀’라는 말, 여자한테만 쓰는 거 아냐? 존은 남잔데 왜 마녀로 몰려?
A. 아주 중요한 질문.
현대 감각으론 ‘마녀=여자’ 같지만, 이 작품과 실제 역사에서는 그렇지 않아.
- 실제 세일럼 재판에서 남성도 마녀로 몰려 처형당했음
(20명 중 5명 남자 / 극 중 자일스 코리도 남자) - 즉, ‘마녀’는 성별 개념이 아니라 정치적, 종교적 권력이 찍은 사람을 말하는 상징이다.
- 연극에서 “마녀”는 말 그대로 체제에 저항하거나, 권력에게 불편한 자들을 말한다.
→ 결론: 마녀는 꼭 여자가 아니라, 권력에 찍힌 누구든 될 수 있다.
Q6. 그럼, “마녀는 권력이 찍은 사람이다”라는 말, 진짜 맞는 말이야?
A. 100% 맞는 말.
이 연극의 본질을 정확히 꿰뚫은 표현이야.
- 아서 밀러는 『시련』을 통해 1950년대 미국 매카시즘(반공 마녀사냥)을 비판했어.
- 그 시대엔 누군가 “쟤 공산주의자예요” 한마디면 인생이 끝났기 때문이다.
- 연극 속 마녀재판은 거짓 고발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고, 진실을 억압하는 체제의 얼굴이다.
- 이 작품은 성별 중심보다는 권력 구조와 체제 광기에 대한 고발이 더 핵심!
- 물론 ‘마녀’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여성 중심이지만, 여기선 그걸 뒤틀고 확장시킨 것이다.
→ 마녀란 결국, “권력에 맞서는 진짜 사람”을 없애기 위한 낙인이었을 뿐.
→ 정리하자면: “마녀=여자”라는 전제 자체를 비판하는 작품이다.
🔚 총정리
이 작품은 단순한 마녀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가 사는 현실과도 맞닿아 있는 이야기다.
누가 거짓을 퍼뜨리고, 누가 진실을 지키는가.그리고, 그 대가를 누가 치르는가.
마녀는 여자만? | ❌ 남자도 마녀로 몰림 (존 프록터, 자일스) |
마녀란 누구인가? | 권력에 찍힌 사람 |
왜 죽었는가? | 존엄과 진실을 위해, 거짓 자백 거부 |
에비게일은? | 고발자이자 생존자. 끝까지 책임 안 짐 |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것? | 거짓 광기, 권력의 위선, 양심의 저항 |
Source
https://www.gielgudtheatre.co.uk/whats-on/the-crucible
'리뷰 > 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곡 헨리크 입센 연극 『헤다 가블러』 공연 정보 및 내용 정리 (0) | 2025.04.17 |
---|---|
아인랜드소설 이보반호브연출 연극 『파운틴헤드』 정리 (3) | 2025.04.17 |
동양 최초 바티칸 변호사, 한동일아세요? 유튜브 영상 (1) | 2025.04.05 |
Cillian Murphy 킬리언 머피 흑백 사진 모음 (0) | 2025.04.03 |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메이킹 배우 리액션 영상 보기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