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 음악 수익화 하기 : 음원 유통은 어디서 할까?
디지털 음원 유통(DSP: Digital Service Provider) 플랫폼에 음악을 배포(퍼블리싱)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내가 필요하여 정리하는 글이 되겠다.
음악 퍼블리싱 서비스를 디지털 음원 유통(DSP: Digital Service Provider) 플랫폼이라 하며, 음악을 배포하는 서비스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곳으로 Ditto Music이 있으며, Spotify, Apple Music 등 다양한 플랫폼에 음원을 유통할 수 있다. 또한, DistroKid는 무제한 음원 업로드를 지원하고, 빠른 배포가 특징이다. TuneCore는 한 번의 결제로 영구 유통을 가능하게 하고, Amuse는 무료 배포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아티스트에게 저작권 관리와 수익 분배 기능을 지원한다.
음원 유통 서비스 소개
DistroKid 디스트로키드
DistroKid는 뮤지션들이 Spotify, Apple, Amazon, Tidal, TikTok, YouTube 등에 음원을 등록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무제한 업로드, 수익의 100% 모두 보장한다.
- URL https://distrokid.com
- 특징
- 무제한 음원 업로드 가능(연간 구독제)
- 빠른 배포(24~48시간 내 처리)
- YouTube Content ID로 수익 보호


Ditto Music 디토뮤직
Spotify, iTunes, Google Play, Amazon, Vevo, Apple Music, Beatport, Deezer 및 Shazam을 포함한 160개의 디지털 음악 스토어에 음악을 배포 가능하다.
- URL https://www.dittomusic.com
- 특징
- Spotify, Apple Music, TikTok 등 200개 이상 스토어에 유통
- 저작권 관리 및 수익 분배 지원
- 유료 서비스(연간 구독 또는 단일 앨범 결제)

Landr 랜드
렌더 Landr Audio는 퀘벡주 몬트리올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업 MixGenius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음악 창작 플랫폼이다.
- URL https://www.landr.com
- 특징
- AI 마스터링 서비스로 유명하지만, 유통 기능도 제공
- Spotify, Apple Music 등에 배포 가능
- 월 구독제로 마스터링 + 유통을 번들로 이용


Amuse 아뮤즈
Amuse는 아티스트와 경영진에게 디지털 음악 배포, 자금 조달, 아티스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들이 경력을 성장시키면서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음악 회사이다.
- URL https://www.amuse.io
- 특징
- 무료 배포 가능(수익 분배율 100%)
- 모바일 앱으로 간편 관리

TuneCore 튠코어
TuneCore는 2005년에 설립된 뉴욕 브루클린에 기반을 둔 인디 음악 배포 기업이다.
- URL https://www.tunecore.com
- 특징
- 1회 결제 후 영구 유통(수익 100% 획득)
- Spotify for Artists 등의 프로모션 툴 제공

그 외 서비스
기타 유사 서비스
- Soundrop https://www.soundrop.com인디 아티스트용 유통 플랫폼
- Routenote https://routenote.com 무료 옵션 제공
서비스 특장점
AI 음원 등록서비스로 유명한 것은 SNS 통해 본 바를 정리하자면 디스트로키드 > 디토, 랜드 이렇게 많이 사용하는 것 같고 그 외에 서비스는 잘 못 본듯하다.
1. DistroKid
- 장점
- 무제한 음원 업로드가 가능하여 연간 구독제로 운영됨
- 빠른 배포(24~48시간 내 처리)로 즉각적인 음원 출시 가능
- YouTube Content ID 기능으로 수익 보호
- 단점
- 한 번의 연간 요금이 필요하며, 개별 앨범에 대한 수익 분배는 지원하지 않음
- 기본적인 고객 지원이 제한적일 수 있음
2. Ditto Music
- 장점
- 다양한 스트리밍 플랫폼에 유통 가능 (200개 이상)
- 저작권 관리 및 수익 분배 지원
- 유통 후 추가 서비스(예: 프로모션) 제공
- 단점
- 연간 구독료가 필요하며, 다수의 앨범을 배포할 경우 비용이 증가할 수 있음
- 고객 지원이 다소 느릴 수 있음
- YouTube Content ID 등록 불가
3. Landr 랜드 (렌더로 발음하지 마세요)
- 장점
- AI 기반의 마스터링 서비스 제공, 고품질 음원 제작 가능
- 유통 기능과 함께 마스터링 서비스를 번들로 이용 가능
-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와 직관적인 기능
- YouTube Content ID 기능으로 수익 보호
- 단점
- 마스터링 서비스가 유료이며, 유통 비용이 다른 서비스에 비해 높을 수 있음
- 무료 버전의 기능이 제한적임
추천 선택 기준
- 예산 : 무료 옵션은 Amuse, 저렴한 연간 구독은 DistroKid
- 유통 규모 : 대량 업로드 시 DistroKid, 단일 앨범은 TuneCore
- 부가 기능 : YouTube 수익 보장은 DistroKid/Ditto
오픈 AI 챗지피티 지브리 디즈니 심슨 등 이미지 생성 열풍과 문제점 정리
반응형
'공부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형 AI 최신 학습 데이터 비교: 2025년 4월 기준 (0) | 2025.04.14 |
---|---|
LLM 대규모 언어 모델은 어떻게 말을 잘할 수 있을까? (2) | 2025.04.14 |
오픈AI 챗지피티 지브리 디즈니 심슨 등 이미지 생성 열풍과 문제점 정리 (4) | 2025.04.01 |
Microsoft AI Tour Seoul 사티아 나델라 키노트 라이브 스트리밍 요약 (4) | 2025.04.01 |
ImageFx 구글이마젠3 사실적 음식사진 생성 프롬프트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