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자 80년대생부터 여성이 더 많다.
기사 요약
고학력 여성 증가, 그러나 30대 경력 단절은 여전
국가통계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생부터 여성의 대학 졸업 및 대학원 진학 비율이 남성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1990년대생에서는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남성보다 13.2%포인트 높아지며 격차가 더욱 커졌습니다.
그러나 고학력 여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30대 여성의 고용률은 출산과 육아로 인해 여전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0대 후반까지 고용률이 상승하다가 30대 초반에 하락하는 패턴이 반복되었으며, 이는 결혼·출산 연령이 늦어지면서 경력 단절 시기도 함께 늦춰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남성은 20대부터 30대 후반까지 꾸준히 고용률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여성의 학력은 높아졌지만 여전히 일과 가정의 병행이 어려운 사회 구조적 문제를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경향신문 2025.3.27)
80년대생부터 여성이 더 고학력.. 청년 취업 시기는 점점 늦어져
국가통계연구원의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교육·취업'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생부터 여성의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율이 남성을 추월했으며, 이후 세대로 갈수록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대학 졸업 후 대학원 진학률에서도 여성의 비율이 남성을 앞서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청년들의 첫 취업 연령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니트족'이라 불리는 일하지 않고 교육도 받지 않는 청년 비율은 모든 세대에서 20%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청년들이 공무원 시험이나 기업 입사를 준비하거나 좋은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수도권으로의 청년 이동률이 높은 것은 비수도권의 일자리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크며,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의 비율은 최근 세대로 올수록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가장 최근 세대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정부의 청년 주거 지원 정책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열린정책뉴스 2025.3.28)
Source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272011025
https://www.opengo.center/news/articleView.html?idxno=32157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3286069b
오픈AI 챗지피티 지브리 디즈니 심슨 등 이미지 생성 열풍과 문제점 정리
'오늘의 나는 > 생각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싹 속았수다 통영 자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03 |
---|---|
원주 신협 5조원 규모 불법 자금세탁 의혹, 금융 관리 허점 드러나 (0) | 2025.04.02 |
바로크 음악과 미술의 공통점 (1) | 2025.04.01 |
1960년대 초반, 100 환 현재 얼마일까? (1) | 2025.03.31 |
100년 전 100원이 현재 얼마일까? 한국의 화폐 가치 변화 (0) | 2025.03.31 |